한 달에 한 번씩 돌아오는 포스팅 시간입니다. 인기는 없어도 가장 중요한, 좋은 결실을 기대하며 기다렸던, 2023년 4월 월간 수익률 현황입니다. 지난 3월의 현황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https://nonow.kr/63/![]()
■ 윈도우(4월 수익률 현황)
4월에는 수익률의 큰 폭 하락이 있었습니다.
1. CAGR(2yr)는 29%에서 15%로 줄었습니다.(-14%)
2. Effective Annual Return은 119%에서 74%로 줄었습니다.(-45%)
3. 알파는 106%에서 59%로 줄었습니다.(-47%)
4. 베타는 0.52에서 0.57로 늘었습니다.(+0.05)
지난 1월에는 180% 수준의 EAR을 얻었습니다.
이는 2022년 주식시장 침체에 따른 착시현상이므로,
2년간의 Compounded Annual Growth Rate를 통해서 수익률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CAGR이나 EAR은 연환산 수익률이므로, 월평균 수익률이 감소하면
CAGR과 EAR이 감소하게 됩니다. 착시 효과로 인해서 1월 수익률이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연말까지 가는 동안 연환산 수익률이 현실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 해왔으나,
4월 한달 사이에 연환산 수익률이 EAR 기준으로 -45%나 하락한 것은
거의 반토막이 난 것이므로 예상보다 어려움이 컸습니다.
한달 사이에 무슨일이 있었기에 이렇게 수익률 현황이 악화됐나요.
제1 원인은 줌비디오(ZM) 주가 하락입니다.
지속적인 하락이자 한달간의 급락이 복합되었습니다.
지난 1개월간의 ZM 주가 수익률은 -10.75%입니다.
포트폴리오 상에 ZM의 비중이 높아서 수익률 현황의 악화가 컸습니다.
줌은 이 달의 키워드이므로 밑에서 좀 더 부연 하였습니다.
제2 원인은 기다림입니다. 번뜩이는 투자 기지와, 호가창만 보고 있을 여유가 없으므로 기다리는 투자를 합니다. 뉴스에 언급되는 주식 종목들은 상한가, 하한가를 기록하며 큰 변동성을 보여주고 있지만 그렇게 핫한 종목에는 관여하지 못했습니다. 수급이 몰리는 곳에 관여하지 못하다보니 수익률에도 큰 변동이 없습니다. 단기간에 높은 수익률을 얻기 힘든 스타일입니다. 크게 벌기보다는 작게 잃자는 방향입니다. 작게 잃기보다는 절대 잃지 말자는 방향입니다. 작게 잃는 것은 좋으나, 절대 잃지 말자는 점이 수익률에 악영향을 주는 것 같습니다. 언제나 유연하게 롱과 숏을 실행할 수 있어야 하는데, "절대"라는 단서조항이 붙으면 유연하기가 어렵습니다. 원칙이 있는 투자는 좋으나, 시장 여건의 변화는 내 계좌 수익률을 참고하지 않음으로 고집스러운 원칙은 세상이 변하는 방향, 타이밍과 미스매칭 되는 한계는 있습니다. 미스매칭을 감수하면서 기다리는 투자를 하다보니 수익률도 좋아지지 못하고 같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 탑5 포지션
4월의 주요 포지션은 3월 대비 몇가지 변동이 있습니다.1. 이마트가 신규로 진입했고, SK바이오팜이 제외 되었습니다. 이마트는 지난 1개월간 주가가 -6.33% 하락하여 비중을 늘렸습니다. SK바이오팜은 지난 1개월간 주가가 13.67% 상승하여 엑싯 하였습니다. 2. 탑5의 비중이 74%에서 69%로 줄었습니다. 전반적인 주가 하락에 따른 비중 자연감소입니다. 엑싯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숏을 하지 않았습니다. 3. ZM의 한달간 주가 하락 -10%로 인해, 비중이 -3% 줄었습니다. 자연감소 중 가장 주요했던 점입니다. 포트 비중 1대장이 ZM인데, ZM은 YTD로 -7.90% 하락하였습니다. 2022년에 ZM은 비트코인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2023년 BTC YTD는 +85.78%로 넘사벽과 같이 디커플링 되었습니다. 3월의 주요 실적은요, 1. XIRR 포맷을 비중 크기대로 내림차순 정렬이 되도록 개선한 점입니다. 수작업으로 비중을 확인하던 것을 손쉽게 비중 랭킹을 확인되도록 만들었습니다. 2. Learning/Plan 채널을 가지치기한 점입니다. 불요불급한 정보는 없는것보다 못할 수 있습니다. 투자 관련 지식채널에서 pros였던 해석이 cons로 뒤집히거나, 이해/적용할수 있을만큼 충분히 친절한 설명이 되지 못한다면, 없는 것보다 못한 도구가 될 수도 있다고 여겨 정리한 부분이 있습니다. 3. 포트 종목을 확대한 점(11개→27개) 3월말 포트 종목은 11개였고, 신규 투자처를 발굴하는 것이 당시 월목표였습니다. 3월 목표를 실행하였고 그 결과로 포트 종목 수가 2배 이상으로 늘었습니다. 4월의 주요 관심사는요, 1. 투자 기준 점검(투자지표 vs 재무/재료/차트 3박자) 신규 투자처는 오로지 투자지표만을 기준으로 선정하였습니다. 분류하자면 재무 기준만을 적용한 것입니다. 수급과 관계되는 재료, 차트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았기에, 뉴스에 나오는 높은 수익률 사례에는 참여 기회가 없는 편입니다. 이에 투자처 발굴시 재료, 차트를 접목하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합니다. 2. 숏 타이밍 조율 신규 투자처를 편입시킨 반면, 매력이 떨어진 종목은 정리를 하고 싶으나, 절대 원칙에 의해 숏을 실행하지 못한 종목들이 있습니다. 절대 원칙을 바꿀지, 또는 숏 타이밍을 기다릴지에 대해 결정할 예정입니다. 3. 한국ETF 대체 종목 발굴 QQQ가 회복세에 있습니다. QQQ는 한국ETF를 통해 비슷하게 보유하고 있습니다. 회복이 완료되면, 투자 계절에 적합한 ETF로 변경할지에 대해 결정할 예정입니다. 기본적으로 한국ETF에 대해서는 마땅한 투자처가 있는지 현황을 더 파악할 예정입니다.
■ 줌 줌 줌
작년도 올해도 수익률의 발목을 잡는 것은 줌비디오 커뮤니케이션즈입니다. 줌(ZM) 때문에 상당한 기회비용을 부담 했습니다. IPO 가격 아래로 내려왔기 때문에 이제 저점을 다졌다고 생각했으나, 하락은 끝이 아니었고 4월 한달동안 -10%의 추가 하락을 경험했습니다. 수익률 현황이 악화일로입니다.
2021년부터 ZM 주가 리스크를 특별관리 하고 있습니다. - Zoom Video Communications 주가 분석(ARK Invest) - 줌비디오(ZM)와 비트코인(BTC)의 가격 상관관계 - 암호화폐 루나의 대폭락과 주식 투자의 위험성(Zoom Video) - 누구도 ZM에 투자할 것을 추천한 적은 없다 - 줌(Zoom) 손실추격 전략 백테스트 - 연도별 투자시점 정리와 아이디어 - 줌(Zoom) 주가 백테스트 - Zoom 주식 토론 모음(Top Reactions) - 줌 비디오 Zoom Video 사업 개요(연차보고서) - 한 손으로 기업분석 - 줌 비디오(Zoom Video) - 물타기(추가매수) 위험성 증명(줌 비디오 사례분석) - 줌 비디오(ZM:Zoom Video) 주가 하락 현상 분석 - 줌 비디오(Zoom Video) 주식투자 리스크 요인 등 - 줌 비디오(Zoom Video) 기업분석 ZM에 대한 분석 예시는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https://mylittleleadership.tistory.com/352 실질적인 수익률 현황 개선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좀 더 실효 있는 분석과 액션이 필요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