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 기업분석과 주가 하락

이마트 기업분석과 주가 하락에 대한 생각입니다.



최근 한달새 이마트 주가는 13% 하락하였습니다.

시총 2.5조원 기업이기에 한달만에 13%가 하락하는것은 큰 폭입니다.

최근 증권 분석이 아닌 다른 일을 하는 편이지만, 한달새 이마트 주가 하락과 같은 특이사항은 체크할 필요가 있습니다. 늘 수익률에 연관된 것에는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기업분석을 통해 주가 하락을 검토합니다.

​​

이마트 기업 개요

이마트는 시가총액 2.6조원, 직원수 약 2.5만명 규모의 코스피 상장기업입니다.

2011년 (주)신세계의 대형마트 사업부문이 인적분할되어 설립된 회사로,

온라인 쇼핑몰 사업부문은 2018년에 물적분할 하여 나갔습니다.

본사는 서울에 있고, 2022년 6월말 기준으로 국내 159개 이마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회사채 신용등급은 A1, AA 등급 수준입니다.

이마트 사업 개요

이마트는 유통, 호텔/리조트, IT서비스, 식음료, 건설레저, 해외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이마트는 소비자인 일반인들에게 친숙한 기업입니다.

연결대상 회사의 수는 48개이고 연결대상 회사를 통해 개략적으로 사업을 알수 있습니다.

사업부문 회사명
유통업 ㈜이마트, ㈜이마트에브리데이, ㈜이마트24, ㈜에스에스지닷컴,
㈜신세계프라퍼티, ㈜스타필드청라, ㈜스타필드고양, ㈜스타필드창원,
㈜신세계동서울피에프브이, ㈜신세계화성, 에스피남양주별내피에프브이㈜,
캡스톤APAC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 2호, DA VINCI HOLDCO PTE. LTD,
㈜지마켓, ㈜에메랄드에스피브이, 아폴로코리아㈜, ㈜신세계라이브쇼핑
호텔ㆍ리조트업 ㈜조선호텔앤리조트, (주)디디아이제이제이60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IT서비스업 ㈜신세계아이앤씨
식음료업 ㈜신세계푸드, ㈜신세계엘앤비, ㈜에스씨케이컴퍼니
건설레저업 신세계건설㈜
해외사업 PK RETAIL HOLDINGS, INC.,GOOD FOOD HOLDINGS, LLC,
BRISTOL FARMS, INC., METROPOLITAN MARKET, LLC,
NEW SEASONS MARKET, LLC, SHAFER VINEYARDS, INC.

부문별 매출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유통업 상품 매출이 전체 매출의 68%를 차지합니다.

신세계푸드, 신세계엘앤비, 에스씨케이컴퍼니 등 식음료업을 합하면 상품매출은 82%입니다.

최근 3년간 식음료업 매출 비중이 6%대에서 14%대로 증가 하였습니다.

재무현황

이마트는 매출액 규모 대비 영업이익에 해당하는 수익력은 부족한 모습입니다.

특이한 점으로는 당기순이익이 영업이익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납니다.

왜 그럴까요.

손익계산서 2022년 2021년 2020년
매출액 29조 3,324억원 24조 9,326억원 22조 330억원
영업이익 1,356억원 3,167억원 2,371억원
당기순이익 1조 77억원 1조 5,890억원 3,625억원

2021년 특이사항으로는 강서구 가양, 남양주 별내 부동산을 양도했고 그 금액은 7600억원 규모입니다.

베트남에서는 지분 처분으로  1,379억원을 확보했습니다.

부동산 매각, 지분 처분이 당기순이익 호조의 원인이었습니다.

부동산 매각이 장기적 관점에서 더 나은 방향이 맞는지는 논의가 필요하지만,

지난 시점에서 돌이켜 보니 부동산 매각 타이밍은 참으로 훌륭 했습니다.

이마트는 부채가 자본보다 높습니다.

유통업 특성에 의한 것인지, 이자가 발생하는 부채인지 등 부채의 상세 확인이 필요 하겠습니다.

2022년 3분기 대비 연말까지 부채가 좀 더 늘었네요. 부채가 늘어나는 중입니다.

재무상태표 2022년 2021년 2020년
자산 33조원 31조원 22조원
부채 20조원 19조원 12조원
자본 13조원 12조원 10조원

투자 지표

이마트의 PER밴드는 꺾여 있습니다. 이 기업이 살아남을 수 있을까요.

PBR은 0.2배 수준입니다. 청산하면 주주에게 더 이득일 수도 있겠습니다.



당기순이익 호조에 힘입어, 10% 미만이던 ROE는 2021년에 16%를 기록했었습니다.

이 당시 ROE의 상승은 국내 부동산 및 해외 지분매각에 따른 일시적 반등입니다.

기업 지속가능성의 기준으로 어닝파워를 보는 것이 필요하고,

단순하게 ROE만 보아서 잘못 해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겠습니다.


이마트 주주 현황

이마트 최대주주는 정용진 18%, 이명희 10%로 합계 28%입니다.

국민연금은 9%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소액주주는 약 12만명으로 59%입니다.

임직원 현황

직원의 수는 약 2만 5천명으로 평균근속년수는 11년입니다.

직원 평가는 3.4점(2,276명), 3.2점(983명)이 있습니다.

등기임원은 7명, 그 중 상근은 3명, 미등기임원 38명,

강희석 대표이사 체제입니다.

이마트는 대표이사보다 오너 가문의 정용진 부회장이 유명합니다.

뉴스

이 글은 지난 3분기 실적 기준으로 작성했던 글을 4분기까지 포함하여 연간 기준으로 업데이트한 것입니다.

회사 개요나 사업 개요 측면에서는 크게 손 댈 부분이 없었는데, 뉴스는 달라졌습니다.

3분기 기준이던 당시에는 SSG랜더스, 쓱세일 흥행 얘기를 했었는데,

현재에는 쿠팡에 밀린 경쟁상태, 영업이익 감소, 2023년 1분기 영업손실 동향이 확인됩니다.

종목토론실의 최근 대화는 무의미하여 표시를 생략합니다.

소결

이마트는 PBR 0.2 수준으로 자산 측면에서 저평가된 기업입니다.

다만 부채비율이 약 150%로 계속해서 높아지는 점에 주의해야 합니다.

이마트는 온오프라인 경쟁력 강화를 위한 M&A 준비 등으로 부채를 늘려 왔는데,

자산 유동화를 통해 부채 부담을 줄여나간다는 계획입니다.

글로벌 경기 수축 국면에서 홀로 사업을 확장하기에는 고금리 부담이 있으며,

부채를 늘린데 대한 성과 측면에서 M&A 실적 확인이 필요합니다.

M&A 시도나 성과가 없다면 표시된 사유와 다르게 부채를 늘린 것입니다.

이마트의 Going concern에 대한 우려를 시작해야 하겠습니다.

매출 20조원 이상의 대기업으로서 직원 2.5만명과 함께 오래동안 존재할 회사로 생각했으나,

매출의 60% 이상이 해당되는 유통업은 쿠팡, 마켓컬리 등등 쟁쟁한 경쟁자가 너무도 많다보니,

나의 생각과 다르게 쿠팡 등 기업과의 유통 전쟁이 진행 중입니다.

영원한 기업은 없습니다.

이마트가 답을 찾을지, 지표가 나아질지 모니터링 해야합니다.

다만 이마트는 PER밴드가 깨져 있어, 지금 투자규모를 키우기엔 부적합 해보입니다.

여전히 규모 키우기에는 부적합해 보입니다.

다만, 단기적 접근을 하는데에는 시장의 예측 불가능한 변동이 근거입니다.

이마트는,

유통업의 강점을 살려 온오프라인 경쟁에서 우위를 점해야 살아남을 수 있겠고,

부채에 대한 설명, 각종 M&A의 성공이 생존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며,

최근의 주가 하락은 이마트에 대한 기대심리 악화를 보여주므로

안일하게 지켜볼 것이 아니라, 살아남기 위한 변화가 필요한 상태입니다.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야 하듯, 포지션으로 대응 해야할 뿐입니다.

※ 이마트 주가 하락에 대한 생각

최근 한달새 주가 하락과 관련하여,

실적과 관련한 주가의 변동은 인과관계가 있기 때문에 합리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인과관계로 인하여 실적과 주가가 상관 있게 변동한 것입니다.

이러한 하락이 포트폴리오 상황에 좋지는 않습니다.

이마트 실적 하락을 예상했었으나, 단기 롱포지션을 잡았으므로 -13%를 두드려 맞았습니다.

LT으로는 이마트를 exit할 예정이었으나 롱숏기간중에 실적하락발 주가하락을 받은 것입니다.

여기서 관심사항은, 앞으로 이마트 기업과 주가가 어떻게 될것인지입니다.

2018년경 30만원대에 육박했던 주가는 2023년 9만원대가 되었다.

실적악화의 주가 반영은 투자 horizon에 따라서 해석이 갈릴수는 있습니다.

뉴스는 1분기의 실적을 기준으로 했을 뿐입니다.

여론이 가장 단기적인 지표를 기준으로함을 알수 있습니다.

이마트는 친숙한기업, 대기업, 오너가 유명한 기업인데 생존을 위협받고 있습니다.

앞으로 이마트가 넘버스(실적)을 넘어 어떤 내러티브로 이겨낼지, 이겨낼수는 있는지를 지켜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