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구역세권개발사업 살펴보기

 

 

지난 219번 포스팅에서는 서대구KTX역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어, 이번에는 서대구역세권개발사업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개  요

총사업비: 14조원(민자 31%, 국비+시비 69%)

사업기간: ~2030

사업면적: 98.8

  = 민관공동투자개발구역: 66.2만㎡(54만㎡;공모완료 + 12.2만㎡;북부하수처리장부지)

  = 자력개발유도구역: 16.6만㎡

  = 친환경정비구역: 16.0만㎡

서대구역 주변 종합 개발 사업

 

* 민관공동투자개발구역

– 복합환승센터, 공항터미널, 공연문화시설 조성

– 하/폐수처리장 3개 통합 지하화 및 상부 친환경생태문화공원 조성

– 첨단벤처밸리, 돔형 종합 스포츠타운, 주상복합타운 조성

 

* 자력개발유도구역

– 민간 주도로 주거기능 개발

 

* 친환경정비구역

– 공공시설이전, 주상복합타운 개발

 

* 유발효과

– 고용: 12만명

– 생산: 24조원

– 부가가치: 8조원

 

 

 

 

2. 진행경과

– 2019.09. 서대구역 주위 토지거래 허용구역 지정(2019.09.16.~2024.09.15.)

– 2020. 민간공동투자개발구역 54.0에 대한 컨소시엄 모집

          (5월 기업 설명회에서 건설사 15, 금융사 4, 시행사 2곳 등 21개사 참여의향서 접수)

– 2020.10.14. 1개 컨소시엄 단독 제출(한국투자증권 컨소시엄)

                  (한투증, 화성산업, 태왕건설, 서한건설, 대방건설, GS건설 등 건설사 및 시행사 1)

– 2020.11.05. 서대구역세권개발사업 대구시 심사 통과

– 2021.06.08. 서대구역세권개발사업 타당성조사 및 중앙투자심사 면제

– 2021.하반기. 기본계획 수립(도시개발 계획, 서대구복합환승센터 개발계획 등)

– 2022. 하수처리장 통합 지하화(예정)

– 2023. 고가도로 완성(예정)

 

 

 

 

3. 민간공동투자개발구역 54.0만㎡

– 서대구복합환승센터와 앵커시설을 건립하는 조건으로 공동주택 분양 등 수익 내는 사업

서대구역광장, 서대구역복합환승센터, 앵커시설 건립조건 포함

앵커시설: 호텔, 공연장, 수영장, 아이스링크장 등 스포츠 복합공간 계획 포함

총사업비: 5,300억원 규모

  = 호텔 및 업무시설: 4,200억원(지상3~15층 연면적 2.2)

  = 공연장: 87억원(1천석 이상 연면적 5)

  = 수영장: 16억원(0.1)

  = 아이스링크장: 209억원(0.7)

공사기간: 2023.상반기~2028(목표)

 

 

 

 

4. 기타사항

1) 서대구역복합환승센터 앵커시설 연면적은 27.9만㎡으로 동대구복합환승센터 29만㎡와 유사 수준이다?

유통분야 중심시설 도입 검토가 있었으나, 호텔 및 복합 편의시설이 들어올 예정임.

롯데, 현대가 검토했던 것으로 알지만 백화점이 없다는 점이 동대구역과 다른 부분.

백화점이 없고, 역사 면적이 작은 점이 서대구역복합환승센터가 동대구역과 다른 부분임.

 

2) 서대구복합환승센터에 통합되는 터미널은 어디?

북부정류장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동대구 터미널행 노선의 정류장)

서부정류장의 통합 가능성은 논란이 있어 지켜보아야함

 

3) 통폐합 하/폐수처리장 3곳은 어디?

– 북부하수처리장, 달서천 하수처리장, 염색산단 하수처리장임

 

 

 

하폐수처리장 지하화 후 인근 주거지역 조성이 활성화 될수 있을지,

임대주택 비율이 높아 주거 인기도가 저조하진 않을지,

교통, 복합공간 기능을 십분 활용하여 뛰어난 입지를 형성할지 등

여러 측면에서 귀추가 주목 됩니다.

 

예타 면제,

한국투자증권이 참여했고, 대구 내에서의 메이저 건설사들이 모두 

참여하였기에 어느정도 신뢰감은 있게 진행되는것 같네요.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