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앤엘 주가 기업분석 2025년

티앤엘 주가 기업분석 2025년 글입니다.티앤엘에 대한 기업분석은 2023년 이후 2년 만에 다시 진행합니다. . 티앤엘 회사 개요 티앤엘은 시가총액 약 4,300억 원의 코스닥 상장 기업입니다. 1998년 설립된 티앤엘은 고기능성 소재 기술을 기반으로 창상피복재, 마이크로니들 패치, 골절치료용 고정재를 제조하는 의료기기 전문 기업입니다. 창상피복재를 주력으로 하며 하이드로콜로이드, 폴리우레탄 폼 등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또한 소재기술과 의료기기 기술을 활용하여 … Read more

이마트 주가 어떡하나 – TWO LESS CLICK이 필요한 때

□ 현 황 – PER(현재: N/A → 1년 FWD: 16) – 대형마트/창고형 155, 슈퍼마켓 253, 편의점 6,618, 복합쇼핑몰 7, 온라인쇼핑 등 운영– 2024년 소비침체 지속, 소매유통 성장 정체 진입, 한정된 수요 경쟁 심화 전망.– 차별화 상품개발, 본업 집중, 매장 운영 구조적 개선, 비용 감축 노력, 비핵심 자산 효율화 . . □ 문제점 – 거버넌스 취약: … Read more

티앤엘 기업분석

티앤엘 썸네일

티앤엘 기업분석입니다. .. 티앤엘 회사개요 티앤엘은 시총 4천억원 코스닥 190위권 기업입니다. T&L은 1998년에 설립되어 2020년에 상장된 중소기업으로, 경기 용인에 본사가 소재한 중소기업입니다. 각종 강소기업, 우수기업 상을 받기도 했습니다. .. .. 티앤엘 사업개요 매출의 83%가 창상피복재, 10%가 정형외과용 고정제, 5%가 기타에서 발생 중입니다. 전체 매출은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 .. 티앤엘 재무현황 티앤엘은 성장 중입니다. 어닝파워가 … Read more

디케이티 기업분석

디케이티 썸네일

디케이티 기업분석입니다. .. .. 디케이티 회사개요 디케이티는 시총 1700억원 코스닥 500위 기업입니다. 인천 소재 중견기업으로 비상장 연결회사가 1개 있습니다. 신용등급은 BBB+입니다. 2012년 설립, 2018년 코스닥 상장되었습니다. 계열회사로는 비에이치, 테크엘, 비에이치EVS, 비에이치ST, 비에이치 세미콘이 있습니다. .. .. 디케이티 사업개요 디케이티는 스마트폰 및 스마트워치용 FPCA를 주로 생산합니다. FPCA는 FPCB에 각종 부품을 실장한 것입니다. 제품 매출액은 감소 추세이며, … Read more

코웨이 기업분석

코웨이 기업분석

코웨이 기업분석입니다. .. .. 코웨이 기업개요 코웨이는 시총 3조원 코스피 98위 기업입니다. 신용등급은 기업어음 A1, 무보증사채 AA-입니다. 연결회사로는 비상장 13개사가 있습니다. .. .. 코웨이 사업개요 코웨이는 환경가전에 대한 렌탈 사업이 매출의 90%입니다. 2022년말 기준 렌탈 및 멤버쉽 계정은 661만개입니다. 이외에도 코스메틱 사업, 수처리기기 등 산업설비 제조업, 공업용수공급 건설 및 운용업(코웨이엔텍), 가구류제조업(아이오베드)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 … Read more

감성코퍼레이션 기업분석

감성코퍼레이션 기업분석

감성코퍼레이션 기업분석입니다. .. .. 감성코퍼레이션 회사개요 감성코퍼레이션은 시총 3700억원 규모의 코스닥 중소기업입니다. 2000년 벤처기업 상장 이래, 큰 변동을 해왔습니다. 주요 변동 사항으로 2019년 비바위크 흡수합병, 2021년 버추얼텍에서 감성코퍼레이션으로 사명변경, 2021년 데브그루 흡수합병이 있었습니다. 계열회사는 2곳입니다. 버츄얼마이닝에 , 에딧76 각각에 지분 45%를 보유중입니다. 그 중 버츄얼마이닝의 규모가 총자산 43억원으로 에딧 7억원보다 더 큰데 당기순손실을 기록하였군요. .. … Read more

종근당홀딩스 기업분석

종근당홀딩스

종근당홀딩스 기업분석입니다. 종근당홀딩스 기업 개요 종근당홀딩스는 시가총액 2367억원 규모의 코스닥 제약회사입니다.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10개사(상장 2개사, 비상장 8개사)입니다. 주요 종속회사는 경보제약, 종근당바이오, 종근당건강, 종근당산업입니다. 1941년 궁본약방으로 창업되어 1976년에 상장되었습니다. 2013년에는 투자사업부문의 (주)종근당홀딩스와 의약품사업부문의 (주)종근당으로 인적분할 되었습니다. 회사채신용등급은 A+입니다. 종근당홀딩스 사업의 내용 종근당홀딩스와 주요 종속회사의 상품 및 제품 현황입니다. 종근당건강이 60%, 경보제약이 21%, 종근당바이오가 17% 비중으로 매출에 기여하고 … Read more

휴온스 Huons 기업분석

휴온스 커버

휴온스 기업분석입니다.

휴온스 기업 개요

휴온스는 시가총액 3600억원 규모의 코스닥 중견 기업입니다. 본사는 판교, 공장은 제천, 연구소는 안산에 있습니다. 1965년 창립 이후 2016년에 ‘휴온스글로벌’로부터 인적분할하여 분사 및 상장 되었습니다.

휴온스 사업의 내용

휴온스는 의약품 제조 및 판매 기업입니다.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매출 구성은 전문의약품 43%, 뷰티웰빙 36%, 의약품 수탁생산 13%, 기타 8%입니다. 내수 비중이 전체 매출의 94%로 내수기업입니다.

휴온스 매출 구성

의약품 사업부문은 국소마취제, 점안제, 포트폴리오 의약품(300여개 이상 품목등록 보유)을 국내 병의원, 약국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사업다각화를 위해 의료기기, 건강기능식품, 보툴리눔 톡신 등으로 사업 영역을 넓히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으로는 여성 갱년기 유산균 ‘메노락토 프로바이오틱스’, 연속혈당측정기 ‘Dexcom G6’, 고용량 비타민 주사제, 건강기능식품 ‘메리트 시리즈’, 리도카인 국소마취제 등이 있습니다. 국소마취제와 같은 무균제제 품목들은 미국 FDA의 허가(ANDA)를 받아 수출하고 있습니다.

생산설비로는 제천에 2개의 공장이 있습니다. 제1공장은  GMP급으로 2009년에 구축, 자체 및 CMO 제품을 생산해오고 있습니다. 2022년에는 제2공장을 준공을 완료하였으며 GMP 인증 및 2023년 본격 가동을 앞두고 있습니다.

신성장동력으로서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해 국내외 제약기업 및 기관들과 협업하여 공동연구개발, 판매권 확보 등 국내외 상업화를 진행 중입니다. 2022년 1월 출범한 종속회사 휴온스푸디언스는 종합 건강기능식품 기업 입니다. 원료부터 전 제형의 완제품 유통까지 가능한 생산설비와 value chain을 보유하고 있으며, 기능성 식품소재 중심의 OEM/ODM, 기능성원료, 자사브랜드 ‘이너셋, 트리뮨’, 수출 사업 중에 있습니다.

휴온스  임직원

직원은 약 850명 평균 근속년수는 4년 미만입니다. 임원은 28명 이사는 8명(비상근 4명 포함), 미등기임원은 20명입니다. 한양대 산공과 및 삼성전자 출신 송수영, 중대 약대 및 GSK 출신 윤상배(70년생) 양대표 체제입니다. 직원평점 B사 2.6점(306개), J사 2.6점(386명)입니다.

휴온스 주주 현황

휴온스의 주주는 휴온스글로벌 41%, 윤성태(64년생) 회장 4%입니다. 윤성태 회장은 휴온스글로벌 주식의 44%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휴온스글로벌  지분은 윤성태 43%, 윤인상 4%입니다.

연구개발

연구개발 조직은 총 120명이 있습니다(박사급 12명, 석사급 56명 포함). 매출액에 대한 연구개발비용은 7~8% 수준입니다.

현재 진행중인 연구 과제 현황입니다. 합성 신약 전립선암, 합성 개량신약 안구건조증/녹내장치료/간질성방광염/탈모, 천연물 건강기능식품 항스트레스,근피로/잇몸건강/질건강개선 연구가 늘었습니다.

휴온스 연구개발 진행 현황

국내외 특허 현황입니다. 특허등록 기준으로 국내 54개->56개, 해외 30개->23개로 변동되었습니다. 상표권 특허등록은 국내 188개->211개, 해외 7개->0개로 변동 되었습니다.

휴온스 특허 현황

재무 현황

매출은 증가하고 있으나 점점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손익계산서 2022년 2021년 2020년
매출액 4,923억원 4,369억원 4,066억원
영업이익 408억원 452억원 541억원
당기순이익 226억원 305억원 565억원

부채와 자본은 모두 완만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부채 비율은 100% 이내입니다.

재무상태표 2022년 2021년 2020년
자산 4,726억원 4,368억원 4,165억원
부채 1,851억원 1,662억원 1,730억원
자본 2,875억원 2,706억원 2,435억원

투자 지표

휴온스의 PER은 변동성이 큰 편으로 예측 사용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단, 지금으로부터 앞으로의 PER밴드는 상승하는 모습입니다. PBR은 수정주가 하락으로 멀티플 연착륙 중입니다.

휴온스 밴드 차트

동향

휴온스는 작년 매출은 증가했으나 영업익은 감소했습니다. 그 원인으로 해외 대손상각이 문제가 된 것으로 언급되었습니다. 제약사, 지자체, 학교 등과 협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사업 확장을 위해 해외 에콰도르에 휴톡스가 진출했다는 소식입니다.

해외 매출 대손상각에 대해, 승계를 위한 준비로 보는 개미 의견이 있습니다. 중부지방국세청은 지난8월부터 휴온스에 대한 특별세무조사를 진행 했습니다. 윤인상은 지난6월 휴온스글로벌 이사로 등록되었고 휴글 지분 4.16%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소견  

휴온스의 별칭은 제약업계의 다이소입니다. 주력 상품이 분명하진 않으나 다양한 제품 생산을 하고 있습니다. 직원관계는 영업 압박, 낮은 복지가 지적되나 회사의 성장성은 인정하는 측면도 있었습니다. 회사 자체로는 일말의 성장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1) 신제품, 전문의약품, 일반의약품의 상품 카테고리만 봐도 종류가 많습니다.

강심제 1 비타민제 0 칼슘제 0 국소마취제 0
골관절염치료제 4 근육이완제 4 기타주사제 3 비만치료제 1
단백아미노산제 2 부신호르몬제 2 소화기관용치료제 1 당뇨병치료제 4
순환기용제 0 비만치료제 5 이담제 0 마취제 12
진해거담제 5 소화기관용액제 1 칼슘제 1 비뇨생식기치료제 12
하제, 완장제 1 안과용제 14 셀레나제 2 해열 진통 소염제 4
비타민제 9 진훈제 2 OTC 4 소화기관용치료제 14
순환기용제 37 항히스타민제 5 정신신경용제 15 지혈제 0
동맥경화용제 6 셀레나제 3 치질용제 1 항생제, 항진균제 등
호흡기치료제 3 따로분류되지 않는 대사성 의약품 4+13 해동제 1 해열 진통 소염제 9
진경제 3 효소제 1 골다공증치료제 7

2) 의료기기로는 베지코트, 아이젝 온, Dexcom G6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아이젝, 더블로 필, 고강도집속형초음파수술기, 베러덤MD 크림, 덱스콤 G5 mobile CGM system, 엘라비에 프리미어 시리즈, sPRP, 더마샤인Pro, 더마아크네, 크린플란트가 있습니다.

3) 건강기능식품은 오큐징코 큐텐, 메리트C 시리즈, 메노락토 시리즈, 제로메이트 시리즈, 이너셋 허니부쉬 스킨부스터가 있습니다.

4) 화장품으로는 휴온스 아스코르빅 포 데일리 50A가 있습니다.

그 외 상품 변동이 있을 수 있으나, 다양한 라인업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영업과 함께 물류 관리가 중요 하겠습니다.

다만 윤성태 회장 이후 윤인상에 대한 경영 승계가 이슈화 되고 있습니다. 작년에는 지주회사에 대한 6월 이사 등록, 8월부터 세무조사가 있었습니다. 한국 기업은 가족 기업, 가족 경영의 형태를 띄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주주 입장에서는 어느 가족과 함께할지를 결정하는 것도 꽤 신경이 쓰입니다. 주주 관계, 노사 관계, 사회환원, 브랜드가치 등 다양한 관계가 중요하지만 오너가족과의 관계도 신경을 써야 하는 점이 단점입니다. 만약 승계 준비 상황이 맞다면, 완료 이전에는 지분 구조에 따라 불리해질 수도 있습니다. 해외 대손상각 이슈가 그 단초가 될 수 있습니다.

어려운 시기에는 무엇을 보고 투자하느냐. 고강도 금리인상 등 매크로 환경이 어려운 상황에서 탑다운이 안되면 바텀업을 노린다, 기업가치 하나 믿고 에퀴티 투자를 지속한다 하는 점이 한국 투자에는 안맞을수 있겠습니다. 기업분석을 하다보면 경영 승계와 오너 이슈를 신경써야하면 매력도가 떨어집니다.

한강의 기적을 일으키며 급성장했던 한국, 투자를 하다보니 오너 관계가 큰 이슈이며, 장기투자보다는 롱숏으로 활용할 수 밖에 없겠습니다. 다이소는 가성비 좋게 사용할 제품이 많습니다. 다이소 아성산업에 투자하고 싶었던 적도 있습니다. 휴온스가 제약업계의 다이소로서, 충분한 성장을 보여주는지 모니터링 하겠습니다.

Read more

카카오 기업분석

카카오-커버

주가가 롤러코스터를 타는 기업, 카카오 기업분석입니다. 카카오 기업개요 카카오는 1999년 코스닥 상장 이후 2017년 코스피 상장된 시총 25조원의 기업입니다.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150여개(상장 2개사 포함)입니다. 회사채 신용등급 AA, 기업어음 A1입니다. 카카오는 메신저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커머스, 모빌리티, 페이, 게임, 뮤직, 스토리 등 영역에서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이밖에도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카카오픽코마 등 콘텐츠 사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카카오 사업개요 카카오의 사업은 … Read more

아프리카TV 기업분석

아프리카TV 기업분석입니다. 회사 개요 아프리카티비는 1996년 설립, 2003년 코스닥 상장 시총 0.9조원의 중견기업입니다. 2022년 4월 나이스디앤비 신용등급은 AA-입니다. 직원은 660여명으로 평균 근속 4년입니다. 상근 임원은 16명입니다. 아프리카TV는 한국의 유튜브로도 불리웁니다. 주주 현황 아프리카TV의 최대주주는 쎄인트인터내셔널입니다. 쎄인트인터는 서수길이 지분 85%를 갖고 있습니다. 서수길은 아프리카를 만들어낸 인물로, BJ들의 아버지로 불리우기도 합니다. 서수길은 서울대 항공우주학 출신의 67년생 사내이사입니다. 2021년 … Read more